이 리뷰 논문은 OLED의 열화 메커니즘과 수명 단축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며, 최신 분석 기법과 신뢰성, 수명 향상을 위한 설계전략을 총망라한다. 소재, 구조, 구동 및 외부 요인까지 폭넓게 분석해 OLED 상용화 및 고신뢰성 구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저비용 제조, 유연성, 다양한 기기와의 호환성 등 뛰어난 장점으로 주목받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발광광원 기술이다. 하지만 한정된 수명 때문에 전자기기 실용화에는 한계가 있다. OLED는 동작 중 다양한 열화 현상이 발생해 수명 및 성능이 저하되기 쉽다. 이 리뷰는 OLED 열화 현상과 그 메커니즘, 주요 실패 모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내·외부 열화 과정과 다양한 물질들이 OLED 성능에 미치는 영향 및 반응을 깊이 있게 설명한다. 열화 해결을 위해 첨단 분석기법 활용의 중요성과 이들의 OLED 성능·신뢰성 향상 기여를 강조하며, 상용화를 위한 수명·안정성 문제와 장벽층, 봉지기술 등 수명 및 안정성 향상 전략도 소개한다. 본 논문은 OLED 기술의 진보와 다양한 전자기기 적용 성공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고품질 평판 디스플레이 및 고체 조명 분야에서 미래를 이끌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 발광효율, 넓은 시야각, 고속 응답속도, 높은 명암비, 우수한 색 순도([그림 1]a) 등은 기존 LED와 비교되는 장점이다([그림 1]c 참조). OLED는 플렉서블 및 신축성 기판 적용에 매우 유리해 웨어러블 전자기기[4], 바이오 의료기기[5], 전자 피부[6], 로봇[7]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얇고, 구부림·비틀림에 강하며, 색상 및 색온도 조절도 용이하다. 다만, 조명용 대형 OLED의 제조비용이 높아 경제적 과제가 크다. 산업·학계 모두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논문 수도 급격히 증가 중이다([그림 2, 3]).
최근에는 OLED 효율 향상과 열화 억제를 위해 다양한 전략이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열 활성화 지연 형광(TADF) 소재와 삼중항-삼중항 소멸(TTA) 전이를 이용해 효율을 높이고 수명도 연장하는 시도가 있다. 하이퍼플루오레센스(hyperfluorescence) 기법, TADF와 TTA의 장점을 융합한 TED-TADF 신기술 등은 고효율 및 특히 딥블루 OLED에서 긴 수명을 실현할 잠재력이 있다.[8–13]
그러나 OLED의 가장 큰 실용적 한계는 동작 시 발생하는 다양한 열화 현상이며, 이로 인해 장기간 사용 시 성능과 수명이 저하된다. 열화 원인은 내부 및 외부로 구분된다. 내부 열화는 유기층 열화 및 비발광 재결합 중심 형성, 삼중항 익시톤이나 라디칼 등 반응성 종에 의한 유기물 손상, 금속 이온·유기분자 확산 등이다.[14–16] 외부요인은 수분, 산소, 자외선 등 환경 요인으로, 유기물 특성이 변하고 효율·수명 저하를 초래한다. 전기적, 열적, 광학적 열화 및 화학적 반응, 트랩, 누설전류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17–23]
이를 극복하고 상용화로 이끌기 위해 OLED의 장기 신뢰성 및 내구성 향상 전략 연구가 활발하다. 소재 조성/구조 수정, 바리어층·봉지·인터레이어 삽입, 적층구조 최적화, 제조공정 개선 등 소재·구조·공정 전반에 걸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실시간·고해상도 분석법을 통한 열화 메커니즘 해석도 핵심이다.[24–30]
이 리뷰는 OLED 열화의 근원 및 완화/예방 방안, 최신 분석기술, 내구성 향상 전략을 종합적으로 정리한다.
OLED 수명은 내부 화학 반응, 모폴로지 변화, 충전 누적 등 각종 열화 메커니즘에 의해 단계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가장 핵심은 일정 조건(온도, 전류밀도, 전압, 습도 등)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휘도(luminance)가 얼마나 유지되는가다. 일반적으로 초기 휘도의 50%까지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T1/2 또는 T50)이 수명 척도로 쓰이며, 더 정밀하게는 T70, T97 등 임계치를 통한 평가법도 있으나, 산업용으로는 1000 cd/m2 기준의 수명이 주로 인용된다.[31–36]
OLED는 초기 휘도(L0)와 작동 수명(T1/2) 간의 상관관계가 뚜렷하며, T1/2는 경험적으로식 L0^n·T1/2 = C에 따라 예측할 수 있다. 단, 소재/구조/환경에 따라 열화 속도와 양상은 변화한다.[33,34]
실제 OLED의 수명은 다양한 인자의 영향으로 정확한 예측이 쉽지 않으며, 통상 초기 급격한 휘도 저하 후 장기적으로 점진적 감소 곡선을 나타낸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복수의 지수 감쇠 함수나 stretched exponential decay(SED) 함수 등 수리모델이 적용된다. 각종 결함/트랩 등 형성 여부가 전기적·광학적 성능저하의 핵심 원인임이 밝혀졌다.[37–39]
응용 분야별 OLED가 요구하는 최소 휘도와 실제 장수명 특성은 [그림 4]에 요약되어 있다. 실내디스플레이는 100~300 cd/m2, 실외 및 특수 목적일 경우 더 높은 휘도가 필요하며, 패널의 실제 수명 목표도 계속 상향되고 있다.[41–43]
온습도, 고전류 환경에서의 가속수명평가, Joule heating(줄가열) 효과 등 고장가속 모드와 그에 따른 열화 양상 등도 분석 중이다([그림 5]).
가장 심각한 고장으로, 전기 쇼트 등 단락이 핵심 원인이다. 기판 표면의 결함, 이물, 거칠기, 국소적 발열 등이 쇼트의 주된 원인이며, 전극 델라미네이션, 기포, 암점(black spot), 기체 축적, 재료 분해 등으로 확산된다.[45–53] 진보된 제조공정으로 발현빈도는 낮아졌으나, 최근까지도 전자이동, 전극금속의 나노필라멘트 형성 등이 파국적 고장에 기여함이 보고된다.
암점은 OLED 활성영역 내의 광출력 손실 부위로, 계면 결함, 고습, 먼지, 핀홀, ITO 돌기, 쇼트 등 환경·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성·확산된다.[54–65] 물 유입량 정량화 등 예측모델 개발, 표면 식각·정밀 평탄화, 계면 접착력 개선, 기판 처리 등의 예방/감소 방안도 연구된다. ([그림 6, 7] 참조)
점접열(Joule heat) 등 과도한 열 발생은 기판 파손/용융, 박막균열, 소재 확산, 상변화로 이어진다. 플렉서블 OLED는 특히 투명전극의 박막, 열 확장 계수 등 기계적/열적 특성 최적화가 선결 조건이다.[70–72]
OLED 수명은 통상 휘도가 50%까지 저하되는 기간으로 정의된다. 전하쌍 분해, 열화 부산물 누적, 고온, 비이동성 전하 및 트랩 등 복합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설계차원에서는 인터레이어최적화나 텐덤 구조, 포토닉 크리스탈, CNT 템플릿, 마이크로렌즈 등을 통한 휘도·효율 향상법이 적용된다.[83–90] ([그림 8])
수분 및 산소 유입은 유기층의 화학적 안정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비발광 중심 및 암점 생성, 금속/전극 부식을 야기한다. 수분 차단을 위한 봉지·장벽기술,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방진막, 실리콘계 대체층 등이 상용화/연구 중이다.[82, 101–106] 산화는 전기화학 반응으로 구조손상 및 수명 저하, 캐리어 이동도 저하, 제조 중의 결함 유발 등으로 이어진다.
은(Silver) 등 전극도금 금속의 전기적/전기화학적 이동은 습기 등 외부 환경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으며, 유기층 확산, 단락, 누설전류, 저수명 등의 원인이 된다.[113–121] 금속-free 유기 인광체, 외부압력 인가, 인터페이스 최적화 등 신뢰성 향상법이 공동 모색된다.
자외선, 원거리 전자전달, 익시톤-트래핑 친화 등 광학적·전자적 과정과 고에너지가 유기층/계면 화학결합을 변성/파괴한다. Hole-blocking층 추가, UV 차단필름, TADF 신소재, 구조적 안정화 방법 등 대안이 제시된다.
계면 혹은 재결합 영역 인근 불균형 전하 누적은 비복사성 재결합 중심, 발광 저감, 휘도·수명 열화의 주원인이다. 인터페이스 품질 강화, 전자수송 신소재 도입, 고성능 바리어 층 및 패시베이션, 적층 설계 고도화로 충전 누적 완화가 가능함이 확인된다.
강한 전기장 하, 분자 쌍극자 재배열로 유기층의 분극/접합특성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자·홀 주입, 익시톤 발광효율 등 여러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초기 열화 또는 회복 가능한 열화 메커니즘으로 해석된다.
전극간, 유기물 간의 화학·전기화학적 반응은 불가역적 손상을 초래한다. 금속 선택, 첨가제 도입, 계면 보강, 차단층 삽입 등 내전기화학적 디자인 전략이 지속 발전 중이다.
장시간 고전압 구동, 박막 내 고장전압 미달로 인한 절연파괴도 주요 고장 원인이다. 적합한 유전체층, 보호막 설계 등이 필수적이다.
열팽창 불일치, 굽힘·비틀림 등 모듈 동작 하중, 박막 구조의 낮은 인장강도 등은 delamination, 크랙, 박막 파손으로 이어지기 쉽다.
장시간 고전류 구동 시 생기는 국부 발열은 기포 형성, 층간확산, 박막 상변화, 밝기 불균일, 수명감소 등 실용상 심각한 열화 효과를 나타낸다. 열설계, 전극 저항 저감, 최적화된 소재선택이 중요하다.
불순물(할로겐화합물, 먼지, 진공챔버 내 오염원 등)이 많으면 구조적 결함, 비발광 중심, 누설경로 등 성능저하 원인으로 작용한다. 소재의 고순도화, 표면처리, 플라즈마/화학적 클리닝 기술이 병행된다.
외부 환경(산소, 수분, 온도, 빛 등)은 내부 열화 메커니즘의 촉진자 역할을 하며, OLED 특성과 수명을 크게 좌우한다. 환경 변화에 대한 소재, 구조의 내성 강화, 열화 모드별 신속 진단법 개발이 핵심 이슈다.
기판 결함, 박막 증착속도/압력/공정조건 등은 구조적 결함 밀도·핀홀 생성·계면 품질 등으로 반영된다. 제조 조건의 최적화, in-situ 탈기 및 산소/수분 수준 제어, 금속산화물 증착 시 자외선 차단, 보호막 적용 등 프로세스 개선이 중요하다.
유입 통로(핀홀·계면 결함·모서리 등) 봉쇄, 초저투과성 바리어층, 무기·유기 복합 봉지, 실리콘계·에폭시 등 각종 봉지기술이 상용화·고도화되고 있다([그림 12]).
구동 중 휘도감소와 더불어 전압 증가도 열화에 따라 관찰된다. 이는 주입장벽 상승, 트랩 누적, 전극계면 변화 등과 연관된다. 인터페이스 전극의 특성 향상, 희생 금속층(게터), 복층전극 설계 등이 보조 수명 향상책으로 적용된다.
OLED의 물리·화학·기계적 현상 분석을 위한 최첨단 기법(전기적, 광학적, 표면, 심도 분석법 등)이 필수적이다. I-V 스위핑, 적외선/라만 분광, 원자힘/주사터널링 현미경, XPS, FTIR, ToF-SIMS, HPLC, MALDI-TOF-MS 등 다수의 고해상도 분석법이 복합 적용되고 있으며, 트랩, 계면, 계층별 열화 모드 파악, 화학적 분해산물 등까지 다각도로 정밀 진단할 수 있다([그림 13]).
OLED 상용화를 위해서는 내구성, 공정, 동작회로, 패터닝 등 다양한 이슈 해결이 요구된다. 소재의 내화학성, 수분·산소 내성, 비독성, 친환경성, 고순도 등 신소재 개발 및 구조 설계 기술, 정밀 패터닝, 구동회로(AMOLED 등) 설계, 봉지/장벽/충전층 최적화 등 통합 솔루션이 필요하다. 신소재 합성, 파장 조정, SOP(spontaneous orientation polarization) 제어, 분자공학, 하이브리드 소자, 박막 인쇄, 플라즈마/ALD 접목 봉지 등 진보된 패터닝-공정법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OLED는 기존 LCD 대비 우수한 효율, 색역, 명암비 등으로 주목받으나, 화학적/전기적/환경적 열화와 고장의 근본적 해결 없이는 장기적 진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 리뷰 논문은 열화 주요원인과 극복법, 첨단 분석기술, 수명연장 전략을 종합 조명했다. 환경·공정·회로·설계 등 전방위적 개선·혁신이 병행된다면, OLED는 고신뢰·장수명의 새로운 디스플레이와 광원 시대를 여는 핵심이 될 것이다.
저자 기여
연구비
데이터 공개 본 논문의 데이터는 합리적 요청을 통해 교신저자에게서 제공됨
이해상충 저자들은 이해상충이 없음을 명시함
이 논문은 오픈액세스(CC BY)로 자유 이용이 가능합니다.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참고문헌 및 그림, 표, 저자정보 등은 원문(https://www.mdpi.com/2079-4991/13/23/3020)에서 확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