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dox Tinto 개발팀이 미공개 신작 'Project Caesar'의 설계와 기능에 대해 이야기하는 여섯 번째 개발자 다이어리입니다. 이번 주제는 위치 시스템, 제어, 근접성, 해양 영향력 등 새로운 메커니즘에 대해 다룹니다.
여러분, 여섯 번째 틴토 토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여기서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저희 게임, 코드네임 ‘Project Caesar’의 설계와 기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오늘 본격적인 주제에 들어가기 전에, 지난주 여러분의 피드백을 반영해 막 완성한 따끈따끈한 결과물을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이런 바로 여러분의 의견 덕분에 저희는 Project Caesar를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우리 게임에서 새롭게 도입되거나 확장된 세 가지 개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그전에, 게임 내에서 '위치'라는 개념에 대해 더 깊게 다뤄보려 합니다.
모든 지도상의 위치가 똑같진 않습니다. 거대한 스케일을 다루는 Project Caesar에서는, 기본적으로 소유 가능한 모든 육지 위치가 농촌 정착지(rural settlement)입니다. 하지만 두 단계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첫째, 해당 위치에 '마을'(town)을 세울 수 있는데, 이는 그 위치의 인구 수용력을 높이고 전혀 다른 건물군이 지어질 수 있게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마을에 ‘도시권(city rights)’을 부여해 추가 이점을 취할 수 있습니다.
문득 모든 위치를 다 도시로 만들면 안 되나?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비용, 인구 조건 외에도, 도시는 식량 생산이 줄어들고 귀족, 성직자, 부르주아 계층이 더 많이 유입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게임 시작 시 스톡홀름, 더블린, 베오그라드 등이 초반 마을, 베이징, 알렉산드리아, 파리 등이 도시의 예시입니다.
여기서는 스웨덴이 현재 어떤 위치를 통제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유한 모든 위치에는 통제치(Control value)가 있습니다. 이 값은 주로 수도와의 가까움(근접성), 혹은 다른 권위 원천과의 거리로 정해집니다. 근접성 이외에 통제력을 올려주는 것은 거의 없지만,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은 매우 많습니다.
이 수치는 아마도 플레이어에게 가장 중요한 값일 것입니다. 통제력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 얼마나 많은 세금을 거둘 수 있는지, 그리고 동원 때 징집할 수 있는 병력이 얼마나 되는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통제력 부족은 그 곳 인구로부터 얻는 국왕 권력을 줄이고, 잠재적 병력과 선원도 감소시킵니다. 또한 시장 유치력도 약화되어, 통제력이 너무 낮으면 외국 시장에 편입되기도 쉽습니다.
근접성이란? 쉽게 말해 '수도와의 거리' 값입니다. 특히 바다를 건너 이동하는 경우, 거리 비용이 매우 큽니다. 육로 이동도 비용이 높지만, 해안선을 따라 해양 영향력이 높을수록 훨씬 멀리까지 근접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큰 강을 따라 이동하면 비용이 크게 줄고, 도로망을 건설하면 더 큰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치안판사’(Bailiff)같은 일부 건물은 근접성의 서브 거점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귀족을 늘리고 그만큼 식량이 추가로 들게 되는 등 단점도 있습니다.
자신의 영토 주변 해안마다, 혹은 특수 건물이 있는 위치에는 해양 영향력이 형성됩니다. 이 영향력은 인접 지점의 항구나 관련 건물 등으로 점차 축적됩니다. 해군함대를 해당 위치에 배치하면 영향을 빠르게 올릴 수 있지만, 봉쇄나 해적이 출몰하면 급격히 감소합니다. 전쟁에서 해안을 지키지 못하면, 그 영향이 꽤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죠.
앞서 언급했듯, 해양 영향력은 근접성 계산에도 영향을 주지만, 해당 해역(시즌)에 속한 시장에서 자신의 상인들이 갖는 힘에도 직접적으로 작용합니다.
다음 주는 경제 시스템에 대한 개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뿐 아니라, 이전 게임의 요소들도 포함된 흥미로운 내용이 많이 있으니 기대해 주세요!
이 글은 Paradox Tinto의 Johan님이 작성했습니다.
원본 포럼: 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developer-diary/tinto-talks-6-april-3rd-2024.1657435/
(더 많은 커뮤니티 댓글과 반응은 원문 포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