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to Maps #22 - 2024년 10월 11일 - 몽골, 만주 그리고 동시베리아

ko생성일: 2025. 6. 19.갱신일: 2025. 6. 19.

이번 주 Tinto Maps 개발일지에서는 몽골, 만주, 동시베리아 지역의 지도, 국가, 사회, 문화, 자원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다룹니다. 티저로 다음주는 중국 전체를 다룬다고 예고합니다.

Tinto Maps #22 - 2024년 10월 11일 - 몽골, 만주 그리고 동시베리아

안녕하세요. 또 한 주, 놀라운 Tinto Maps의 세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번 주에는 매우 넓은 지역, 몽골, 만주, 그리고 동시베리아 전체를 다루겠습니다. 길게 끌지 말고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국가

Countries.png

Colored Wastelands.png

스포일러: 주르첸을 좀 더 자세히 보기

Countries zoom.png

여기에서 명백히 볼 수 있듯이, 중국의 원 왕조가 대부분의 영토를 통제하고 있으며, 시베리아의 광활한 지역은 "개방"된 식민지화 가능 지역으로 되어 있습니다. 만주에 관해, 주르첸 부족들은 난해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일부는 보다 정착되고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일부는 유목민적이고 목축 위주였으며, 또 어떤 부족은 그 중간에 위치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나중에 만주로 통합되는, 보다 정착적 성격의 부족들을 원의 속국으로 별도 국가로 표현하기로 했고, 그 외에도 원 내부에는 주르첸 인구가, 가장 유목적인 부족은 팝 사회(Society of Pops)로 표현되었습니다.

팝 사회

Societies of Pops.png

대부분이 분포한 곳은 명백히 만주와 국가 경계 및 해안 위주이고, 시베리아와 캄차카의 척박한 내륙으로 갈수록 인구가 희박하여 덜 조직화되어 있습니다.

왕조

Dynasties.png

예상대로, 보르지긴 왕조가 또 한 주를 지배합니다. 주르첸에 관해서는, 현재 지정된 왕조 없이 모두 생성되고 있습니다.

지명 (Locations)

Locations.png

스포일러: 자세히 볼 것 많음

Locations zoom 1.png

Locations zoom 2.png

Locations zoom 3.png

Locations zoom 4.png

Locations zoom 5.png

Locations zoom 6.png

Locations zoom 7.png

행정구역 (Provinces)

Provinces.png

스포일러: 작은 행정구역 자세히 보기

Provinces zoom 1.png

Provinces zoom 2.png

Provinces zoom 3.png

지역 (Areas)

Areas.png

지형 (Terrain)

Topography.png

Climate.png

Vegetation.png

몽골 고원의 건조한 고비사막은 만주의 초원과 목초지로 이어지고, 더 북쪽 시베리아로 들어가면 산과 언덕, 숲, 그리고 시베리아답게 추위가 지배적으로 나타납니다.

개발도 (Development)

Development.png

이 지역은 개발도가 낮고, 지난주 Tinto Maps에서 말했듯이 중국에 들어서면서 개발도의 급격한 변화가 너무 강하니 추후 조정할 예정입니다.

천연 항구 (Natural Harbors)

Harbors.png

문화 (Cultures)

Cultures.png

스포일러: 많은 문화

Cultures zoom 1.png

Cultures zoom 2.png

Cultures zoom 3.png

문화 지형도 역시 매우 다양합니다. 여러 민족이 거주하며, 어떤 집단은 광범위하게, 또 어떤 집단은 매우 국지적으로 분포합니다. 몽골 고원은 몽골어 문화가 매우 강하게 우세합니다.

종교 (Religions)

Religions.png

종교 분포도 역시 매우 다양해서, 텡그리, 샤머니즘, 그리고 퉁구스 샤머니즘(갈색), 유카기르 샤머니즘(연한 파랑), 추크치 샤머니즘(보라) 등 지역적 변형이 보입니다. 참고로 현재 "애니미즘" 또는 "샤머니즘"으로 정의된 전 세계 종교를 재검토 중이라, 이 분포에도 앞으로 약간 변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원 (Raw Materials)

Raw Resources.png

스포일러: 더 많은 자원

Raw Resources zoom 1.png

Raw Resources zoom 2.png

Raw Resources zoom 3.png

자원 분포가 뚜렷합니다. 몽골과 만주는 가축과 말이 풍부하며(말의 제후들이니 당연하죠), 시베리아 숲에는 모피, 야생 동물이 많고 북쪽 해안에는 상아가 매우 풍부합니다(세계적으로 유명한 북극 코끼리 떼에서 말이죠). 그러나 산지에는 금과 은 같은 귀금속도 포함되어 식민이 큰 이득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점은, 연어 등 물고기가 해안뿐만 아니라 시베리아를 가로지르는 주요 강을 따라 흔하게 발견된다는 점입니다.

시장 (Markets)

Markets.png

우선, 시장 시각화 방식을 이전 방식으로 되돌렸습니다. 최근 변경안이 좋은 방향이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계속 여러 방식을 실험할 예정이므로, 이게 최종 결정은 아니겠지만 지금은 이 방식이 더 명확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이 지역들은 시장 존재감이 희박하며, 카라코룸과 일란 할라가 주요 시장이며 남쪽에는 중국 시장의 영향이 닿아 있습니다. 시베리아 자체 시장은 없기에, 현재로선 별도 접근성이 없습니다.

인구 (Population)

Population.png

스포일러: 자세히 보기

Population zoom 1.png

Population zoom 2.png

Population zoom 3.png

Population zoom 4.png

Population zoom 5.png

Population zoom 6.png

이 지역에서 인구를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 국가는 주르첸 계통 국가들뿐이고, 강력한 원 왕조가 지속적으로 이들을 압박합니다. 위치별 인구에 대해 한 가지 언급하자면, 많은 지역이 150이라는 값으로 설정된 걸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동시베리아의 인구가 적은 지역에 일괄적으로 적용한 기본값입니다. 이 시기의 인구 추산에는 정밀 조정이 어렵기 때문이며, 추후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번 주는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주에는 그 동안 계속 예고만 했던 중국 전체를 상세히 공개할 예정입니다. 모두 그때 뵙길 바라며, 언제나 여러분의 피드백을 매우 열려 있고(그리고 감사합니다) 반갑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