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to 개발자 다이어리의 17번째, 아라비아 편. 아라비아 반도의 국가, 왕조, 지리, 문화, 종교, 경제 등 상세 지도와 설명을 통해 살펴봅니다.
안녕하세요, 지도 마니아를 위한 또 한 번의 개발자 다이어리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번 주에는 폴란드, 루테니아, 발트 지역 리뷰 이후 두 번째입니다. 만세!
오늘은 아라비아 지역을 살펴보려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스포일러: 색칠된 황무지 포함 지도
_이번 주에는 두 가지 국가 지도를 준비했습니다: 명확성을 위해 황무지에 색을 입히지 않은 지도와, 스포일러 버튼 아래서 볼 수 있는 색칠된 황무지 지도입니다. 혹시 ‘이 지역의 팝 사회(Societies of Pops) 지도는 왜 없을까?’ 궁금하실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Project Caesar가 진짜 같은 세계 시뮬레이션을 여러 층으로 표현하기 때문입니다(저희 디자인의 주요 기둥 중 하나죠). 몇 주 전에 팝 사회를 새로운 국가 유형으로 소개했지만, Tinto Talks #4 정부 개요 때 요한이 여러 정부 유형을 언급했는데, 이는 이제 정착 국가(만)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부족정(Tribal)인데, 이는 가장 복잡하고 조직적인 부족 사회를 잘 나타낸다고 생각합니다. 이들은 일부 세력(estate) 특성과 부족적 특성을 모두 갖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아라비아 반도의 시뮬레이션을 위해 군주국(메카, 예멘, 오만, 오르무즈, 자르와니드)과 부족 국가(나머지)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부족 국가는 영토에 부족민 팝이 가득해서 부족 세력 관리가 가장 중요하게 됩니다. 참고로, 이 구분 및 표현은 게임 시뮬레이션을 위한 저희 해석일 뿐이고, (유럽 여러 국가의 분권화 논쟁처럼) 유일한 해석은 아닐 수 있습니다. 장점은 피드백을 받고, 늘 수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점이며, 게임 릴리즈 후 스크립트로 쉽게 바꿀 수 있어 모드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합니다. 저희 해석에 동의하지 않거나 다르게 하고 싶으시면 아라비아 중심부를 팝 사회로 표현하는 모드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_
이 지역의 왕조들 중에는 예멘의 라술리드(Rasulids)나 오만의 나브하니(Nabhani)처럼 친숙한 이름도 있고 새로 추가된 왕조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버그도 빠지지 않죠: 'al-Al' 접두사는 오류입니다. 이들 왕조는 지명(locative)을 써서 중복 표기가 되었으니 수정할 예정입니다.
스포일러: 더 세부적인 위치 지도
이 지역의 위치 지도입니다. 스포일러 영역에는 북/중앙 아라비아, 남아라비아, 동아라비아 세 구역의 더 자세한 지도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아라비아는 건조한 사막 고원입니다. 예외적으로 예멘의 비옥한 산 계곡만이 있어, 이곳이 ‘에우다이몬 아라비아/아라비아 펠릭스’(행복한 아라비아)라 불렸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문화 구분도 흥미로운데 여러 아랍어권 민족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그리고 궁금해하실까 봐, 네, 소코트라는 자체 소코트리 문화가 있습니다. 그 외에도 소수 민족 추가가 남아 있어서 지도 리뷰 때 반영할 예정입니다.
아라비아의 종교 분포도 역시 흥미롭습니다. 수니, 시아, 이바디(이바디) 주류가 반도 곳곳에 있습니다. 소수종교 추가는 아직 반영이 안 되었는데, 이 부분도 추후 지도에 표시하고 검토하겠습니다. 더불어, 앞으로 몇 주 동안 이슬람 관련 작업을 하려 하는데, 이바디 색상이 시아파와 너무 비슷하다는 점도 조정 후보입니다. 여러분이 이슬람 신앙의 여러 분파별 색상에 선호하는 기준이 있다면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대추야자, 가축, 말, 약간의 밀과 모래; 부족 국가는 이런 것으로도 경제가 괜찮을지도요? 농담은 제쳐두고, 북/중앙 아라비아 사막 지대는 자원 분포가 단순하지만 예멘과 오만 쪽은 진주, 명반, 구리, 염료, 비단, 커피 등 풍부한 자원을 자랑합니다(모카커피 좋아하세요?).
이 지역엔 다섯 곳의 시장 중심지가 있습니다: 메카, 알-하지르, 알-하사, 호르모즈, 아단. 바로 위의 자원 분포와 맞물려, 아단과 호르모즈를 장악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이건 역사적으로도 마찬가지였죠.
스포일러: 더 자세한 인구 지도
이번 주에는 인구 관련 오류가 (거의) 없어서 공개 가능합니다. 전체 지역 인구는 약 450만이며, 예멘이 160만, 메카가 77만 등으로 절반 가량이 이 두 곳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상당수 인구는 이집트 맘루크가 지배하는 메디나 주변 지역에 속합니다.
이것으로 이번 주는 마무리입니다! 다음주 예고를 전해드릴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아나톨리아에 대한 피드백 검토가 끝났으니 월요일에 게시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다음주에는 Tinto Talks가 없는 한 주도 좀 더 견딜 만할 겁니다. 그리고 금요일엔 새로운 지역, 이란과 코카서스의 지도가 공개됩니다! 곧 다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