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to Maps #14 - 2024년 8월 9일 - 서아프리카

ko생성일: 2025. 6. 19.

서아프리카의 지도, 역사, 문화 및 인구에 대한 심층 개발 일지. 말리 제국의 전성기와 다양한 정치, 문화, 경제 지도를 상세히 다룹니다.

Tinto Maps #14 - 2024년 8월 9일 - 서아프리카

안녕하세요, 한 주 더 틴토 맵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도 지도 덕후 애호가를 위한 요일이 돌아왔네요. 이번 주는 서아프리카를 들여다봅니다! 역사적으로 이 땅들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려왔으나, 가장 널리 쓰인 이름은 기니(Guinea)이며, 이 이름은 이 지역의 남쪽 경계인 기니만에도 붙여졌습니다. 서쪽은 대서양, 북쪽은 사하라 사막, 그리고 동쪽은 대략적으로 차드 호수 주변의 땅이 경계를 이룹니다.

이 지역에 들어서며 우리는 _Project Caesar_의 '이지 모드 맵 제작'에서 벗어납니다. 1337년 당시 서사하라 이남의 많은 지역에 대해 포괄적인 자료를 찾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인데, 이 지역의 전통적인 역사 기록이 구술 위주이고, 유라시아처럼 문서로 남은 기록이 드물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지역의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역사와 지리, 문화적 다양성을 최대한 담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시작해봅시다!

국가들:

Image 26: Countries.png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는 말리 제국입니다. 1337년 당시 악명 높은 맨사 무사(Mansa Mūsā)가 다스리는 이 제국은 그 전성기에 있었으며, 만데(Mandé)어를 쓰는 민족들의 핵심 지역뿐만 아니라 졸로프(Jolof), 비옥한 니제르 강 유역 대부분, 그리고 사하라 사막의 주요 거점들에까지 패권을 행사했습니다. 남동쪽에는 모시(Mossi) 사람들이 여러 국가(우아다가두, 그위리코, 야텡가, 부수마, 텐코도고, 립타코)에 나뉘어 있었고, 해안 남쪽엔 콩(Kong), 다그본(Dagbon), 보노만(Bonoman), 만케심(Mankessim) 등이 디울라(Dyula), 다그바니(Dagbani), 아칸(Akan)이 통치했습니다. 동부에는 파다 응구르마(Fada N’gourma), 보르구(Borgu), 맘프루구(Mamprugu)가 하우사(Hausa)족의 도시국가들과 이어졌습니다(케비, 고비르, 자파라, 카치나, 다우라, 카노, 라노, 자자우). 더 동쪽엔 카넴(Kanem) 제국이 차드 호 주변을 지배했고, 사하라 교역로를 장악해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부유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남쪽에는 누페(Nupe), 요루바(Yoruba: 오요, 이페, 이제부, 오워), 에도(베닌), 이그보(Nri) 등의 땅이 있습니다.

왕조:

Image 27: Dynasties.png

이 지역의 왕조는 잘 알려진 말리의 케이타(Keita), 졸로프의 은디아예(Ndiaye), 카넴의 사이파와(Sayfawa) 등과 같이 역사적으로 전해지는 왕조와, 1337년 당시 정확한 통치자를 알기 어려웠던 다른 정치체들에는 임의로 생성한 왕조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지역:

Image 28: Locations.png

스포일러: 더 상세한 지역 지도

Image 29: Locations 2.png

Image 30: Locations 3.png

Image 31: Locations 4.png

서아프리카의 거점 위치; 장소 선정, 지명 등에 최선을 다했지만, 여러분의 피드백도 환영합니다.

주(프로빈스):

Image 32: Provinces.png

지역 구역:

Image 33: Areas.png

지형:

Image 34: Climate.png Image 35: Topography.png Image 36: Vegetation.png

이번 주에는 지형 지도 모드가 실장되었습니다. 기후와 식생에 대해 크게 설명할 게 없지만, 아열대와 열대, 그리고 사하라 인접 사막과 점차 울창해지는 숲에서 해안의 열대 우림에 이르기까지 식생이 단순·직관적입니다. 지형은 크게 파편화되어 있지 않으며, 기니 고원과 아다마와 고원이 주요 랜드마크입니다.

천연항구:

Image 37: Harbors.png

이번 주 틴토 토크에서 소개됐던 새로운 지도 모드입니다! 이 지역에도 괜찮은 천연항구가 몇몇 있는데, 프리타운이 세워질 바나나 아일랜드, 엘미나, 칼라바르 등이 손꼽힙니다.

문화:

Image 38: Cultures.png

이번 주 가장 아름다운 지도일지도? 약 3년 전, 제일 먼저 완성했던 아프리카 지역이기에 접근에 최선을 다했다는 점을 거듭 강조합니다. 추후 검토할 때 더 다양한 세부사항을 추가할 수 있겠지만, 우선 먼저 여러분의 피드백을 듣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종교:

Image 39: Religion.png

이 지도는 제작 중(WIP)임을 참고해주세요. 1337년 당시 수니파-아니미즘(애니미즘) 구분은 대체로 맞으나, 이슬람의 남하 이전 시기를 반영하였습니다(이후 이슬람이 더 남쪽으로 확장됩니다). 아직 '애니미즘' 역시 여러 지역적 변형으로 세분화할 작업이 남아있으며, 관련 데이터도 이미 많아, 이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도 듣고자 합니다.

원자재:

Image 40: Raw Materials.png

이 지역의 생산품은 상당히 다양하며, 지리적 환경에 따라 다릅니다. 사하라 지역에는 소금, 구리, 명반 등이 풍부합니다(차드 호 북부가 1337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명반 허브였다는 점은 역사 기록에도 언급됨). 사헬 지역에서는 가축이 주를 이루며, 니제르 강 유역에는 다양한 농산물, 그리고 금, 상아, 보석, 향신료(콜라넛, 말라게타 고추 등) 등 명품 생산지이기도 합니다. 기니만 해안에는 어획장이 많죠. 단, 철, 주석 등 금속류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많지 않습니다.

시장:

Image 41: Markets.png

시장 분포 역시 흥미롭습니다. 1337년 가장 중요한 도시는 니아니, 카노, 니지미 등이며, 이들은 북아프리카 시장과 연결되어 사하라를 통한 상품(예: 금, 명반) 수출로 큰 부를 축적할 수 있었죠. 대항해시대 이후 해안 시장도 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북부에서 남부로 세력 균형이 이동할 수 있습니다(역사적으로 실제로 벌어진 일이나, 꼭 그렇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인구:

Image 42: Population .png

스포일러: 더 상세한 인구 지도

Image 43: Population 2.png

Image 44: Population 3.png

Image 45: Population 4.png

Image 46: Population 5.png

서아프리카의 인구. 인구 데이터 추적 방식을 개선해 독일 때 같은 데이터 오류를 막고자 했습니다. 서아프리카 전체 인구는 약 560만 명, 그중 사헬 220만 명, 기니 해안 330만 명입니다. 약 70만 명의 말리 제국 인구를 포함해, 실제 정치체 통치하에 있지 않은 인구가 더 많은 점도 주목해주세요. 이 점은 추후 틴토 토크에서 재미있는 게임플레이 요소로 소개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다음 주 금요일(8월 16일)은 스페인 광복절로 휴일이라 틴토 맵스가 쉬게 되었습니다. 다음 편은 8월 23일 금요일에 나가며, 동아프리카를 조명할 예정입니다! 그때까지 피드백에 계속 응답드릴 예정이고, 비공식 지도도 몇 개 올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