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to Flavour #1 - 콘텐츠 유형 및 가이드라인

ko생성일: 2025. 6. 19.갱신일: 2025. 6. 22.

Project Caesar의 국가별·지역별 고유 플레이버 콘텐츠의 종류, 구조, 적용 방식, 그리고 관련 예시와 가이드라인을 소개하는 포괄적 개발자 다이어리입니다. 각 콘텐츠 타입의 역할과 실제 게임 내 구현 방식을 상세히 다룹니다.

Tinto Flavour #1 – 콘텐츠 유형 및 가이드라인

안녕하세요, 그리고 새로운 연재 Tinto Flavour의 첫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연재는 매주 금요일, 우리가 초비밀 프로젝트 Caesar에 추가하는 다양한 플레이버 콘텐츠를 소개하는 특별한 시간입니다. 지도 애호가분들을 위해 'Tinto Maps' 시리즈도 계속될 예정이나, 다소 불규칙한 일정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특정 국가 이야기가 아니라(깜짝!), 게임 내 플레이버 콘텐츠의 종류, 작동 방식,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접근하는지(이전 Tinto Talks에서 일부 정보가 공개됐을 수도 있지만),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설명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께 게임에 존재하는 다양한 스크립트 기반 콘텐츠 자산이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그것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명확히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자, 일단 모든 요소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리스트부터 살펴봅시다. 그리고 개별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 국제기구
  • 시츄에이션(상황)
  • 재난
  • 이벤트
  • 국가 개혁
  • 법률 및 정책
  • 계급 특권
  • 진보(Advances)
  • 의회 시스템
    • 의제
    • 이슈
  • 예술 작품
  • 인물 및 예술가
    • 신규 인물/예술가
    • 인물 특성
    • 인물 상호작용
    • 후계자 선정
  • 건물
  • 유닛
  • 함선
  • 내각 행동
  • 외교 요소
    • 카수스 벨리
    • 평화 조약
    • 종속국 유형
    • 종속국 상호작용
  • 종교 요소

꽤 많죠! 이 다양성 덕분에 국가나 지역별로 가장 적합한 요소 조합을 선택할 수 있어 각기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각 플레이버 자산은 관련된 개발자 다이어리로 링크해둘 테니, 작동 방식과 어떻게 전체 게임 시스템의 일관된 일부로 통합되는지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볼까요?


국제기구 ▶️Tinto Talks #12

유니크/일반 국제기구가 다수 존재하며, 이는 게임 내 메커니즘이나 스크립트 콘텐츠로 동적으로 등장할 수 있습니다.

Guelphs.png 1337년의 이탈리아는 두 경쟁 국제기구, 교황파(Guelf, 교황 지지)와 기벨린(Ghibelline, 신성로마 황제 지지)으로 나뉩니다.


시츄에이션(상황) ▶️Tinto Talks #14

상황(situations)은 여러 국가에 동시에 서사적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 용기’입니다. 패널 내 조작 가능/상황에 의해 해제되는 액션 외에 이벤트나 재난 등 다양한 콘텐츠도 연동시킬 수 있습니다.

Nanbokucho Jidai.png ‘남북조 시대’는 게임 시작 첫 달 일본을 북조와 남조로 분열시키는 상황으로 발동합니다.


재난 ▶️Tinto Talks #42

재난은 한 국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콘텐츠로, 별도의 UI 패널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Tinto Flavour에서 더 다룰 예정입니다.

Crisis of the Chinese Dynasty.png ‘중국 왕조의 위기’는 중국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유 동적 재난으로, 제국 왕조 교체와 몰락을 표현합니다. 차후 중국 관련 IO와 자산 간 상호작용도 깊이 다룰 예정입니다.


이벤트

게임에서 가장 흔한 콘텐츠로, 이미 수천 개가 스크립트되어 있습니다. 무작위 생성 이벤트, 그리고 고유 이벤트(대표적으로 DHE, Dynamic Historical Event)로 구분됩니다.

Invite German Settlers.png 동유럽 수도 보유 국가가 농민계급에게 ‘독일 이주자 초청’ 특권을 부여했을 때 ‘동방식민’(Ostsiedlung)을 모티브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세 가지 대응책이 있으며, 마지막 선택은 특권 자체를 철회하게 됩니다.


국가개혁 ▶️Tinto Talks #40

국가개혁은 국가의 틀을 정의하는 매우 중요한 고유 플레이버 자산입니다. 퍼머넌트(영구) 보정도 이 자산을 통해 주로 부여되며, 소스가 한정적입니다.

Anatolian Beylik.png 아나톨리아의 튀르크 베일리크들. 고유 계승법 등 추가콘텐츠 해금의 열쇠입니다.


법률 및 정책 ▶️Tinto Talks #18

사회 구조를 정의하는 법률은 5개 영역(행정, 종교, 사회경제, 계급, 군사)별로 존재합니다. 각 법률에는 선택 가능한 정책(일반/고유)들이 잇달아 연결되어 있습니다.

Types of Laws.png Order of Chivalry.png 여기는 유럽국가 전용 고유 군사법 ‘기사도 기사단’ 모습입니다. 이를 채택한 후 각국 고유 정책이 해금되며, 위 예시는 카스티야의 ‘밴드 기사단’입니다(1332년 알폰소 11세가 창설). (아직 작업중인 콘텐츠로, 이후 다른 기사단들도 추가 예정입니다.)


계급 특권 ▶️Tinto Talks #5

계급별로 부여 가능하며, 상호 또는 타 콘텐츠와 연동·해금될 수 있어 선택이 전략적으로 중요합니다.

Libro d'Oro.png 베네치아 귀족(파트리치아토) 출발 특권인 ‘Libro d’Oro’. 귀족계급 만족도와 권력 증가, 그리고 일정 비용을 들여 새로운 귀족 가문 등용 반복 이벤트 트리거 역할도 수행합니다. 철회에는 높은 비용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진보(Advances) ▶️Tinto Talks #20

이벤트 다음으로 흔한 고유 플레이버자산입니다. 국가 단위로 시대별 1-3개의 고유 진보, 지역 및 종교별 고유 진보 등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Epic of Sundiata.png 말리의 시작 진보 중 하나인 ‘순디아타 서사시’.


의회 ▶️ Tinto Talks #41

  • 의제(agendas)
  • 이슈(issues)

의회 시스템에는 국가별 상황에 맞춘 의제 및 이슈도 고유하게 적용 가능합니다.

Presbyterian Education Act.png 스코틀랜드가 칼빈주의를 채택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의회 이슈 ‘장로교 교육법’. 사회적 가치에 영향, ‘대중교육법’ 고유 정책 해금 등 효과가 있습니다.


예술 작품 ▶️Tinto Talks #37

스테이징 예술작품 다수(시작+고유 DHE), 그리고 무작위 생성 작품도 구현됩니다. 실제 역사적 작품을 인지할 수 있고, TT(툴팁)로 효과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ipitaka Koreana.png ‘팔만대장경’은 ‘경전’ 유형의 예술작품. ‘걸작 등급’인 덕분에 ‘평균급’ 작품보다 더욱 큰 효과를 지닙니다.


인물 및 예술가 ▶️Tinto Talks #15 & Tinto Talks #37

  • 신규 등장 인물/예술가
  • 인물 특성
  • 인물 상호작용
  • 후계자 선정

역사적 인물들은 게임 시작은 물론, 각종 DHE를 통해 플레이 중에도 수시로 등장합니다. 특성, 상호작용, 후계자 선정 등도 모두 스크립트화해 커스텀이 쉬워 다양한 고유 요소 제작에 용이합니다.

Partition Inheritance.png ‘분할 상속’은 귀족의 ‘상속권’ 특권을 통해 해금되는 독일 문화권 한정 고유 계승법입니다. 신성로마제국 해체의 역사적 원인을 재현하며, 대표적으로 비텔스바흐 가문이 여러 국가로 분산되어 등장하는 것이 그 예시입니다.


건물 ▶️Tinto Talks #9

종류가 매우 많음은 물론, 고유 조건(문화·종교·개혁 등)이나 각종 이벤트, 개혁 등으로 해금되는 특수 건물도 직접 구현 가능합니다.

Versailles.png ‘베르사유 궁전’은 이벤트로 생성되는 건물 예시입니다. 금 500, 파리 시장 내 자원, 1년의 건조기간 소요 후 건립되며, 문화전통·영향력 상승, 귀족 고용에 효과 있습니다.


유닛 ▶️Tinto Talks #22

기본 유닛 외에도 완전 커스텀 고유 유닛 구현 가능. 보통 시대마다 해금/폐기되는 단위로, 업그레이드 여부 선택은 유저에게 맡겨집니다.

Elephant Cavalry.png ‘코끼리 기병’은 인도 국가 전용의 기병. 남인도 정글에서 높은 전투효율, 갠지스 평원에서는 효율 저하 등 특수 지형 연동이 특징입니다.


함선 ▶️Tinto Talks #24

유닛과 마찬가지로, 시기별 고유함선 구현이 가능합니다.

Catallan Galley.png 기존에 알려진 적으나, 실제 효과와 상세 설명은 처음 공개되는 예시입니다.


내각 행동 ▶️Tinto Talks #16

특정 국가만이 가지는 고유 내각 행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기능상 밸런스 문제로 남용하지는 않고, 선택과 집중을 유도함).

Support New Farms.png 스웨덴은 시작부터 독자적 내각 행동(북동부 미개척지 개간 지원)을 가집니다. 이로써 사미, 핀란드 지역 등 식민지 개척에 유리해집니다.


외교 요소 ▶️Tinto Talks #33

  • 외교 액션
  • 카수스 벨리
  • 평화조약
  • 종속국(속국) 유형
  • 종속국 상호작용

모든 외교 요소들도 완전 스크립팅 가능, 고유 플레이버 부여가 쉽습니다.

Samanta Status.png 여기서는 ‘사만타 상태 요구’(외교 액션)와 ‘사만타’(인도 문화권 전용 속국 유형) 두 가지 고유 기능이 동시에 등장합니다.


종교 요소 ▶️Tinto Talks #13

하드코딩과 스크립트가 혼합된 구조로, 스크립트 파트 덕에 종교마다 교차하는 국가별 고유 플레이버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Ibadi.png 스포일러: 이슬람 ‘종파’ 시스템도 스크립트 제작 가능합니다! 오만(이바디파 전용 종교학교) 예시입니다.


마지막으로 – 보정/미션 관련 논의

자, 이제 다양한 플레이버 콘텐츠 유형 소개를 마쳤으니, 댓글에서 깊이 논의될 법한 두 가지 이슈에 대해 짧은 부연설명을 하려 합니다.

첫 번째 이슈는 ‘보정 인플레이션’(modifier inflation)입니다. 여러 보정들이 존재하지만, 게임의 구조상 콘텐츠 자산만으로 완전히 새로운 기계적 특성/플레이버를 만들어내는 것이 늘 가능한 건 아닙니다(하지만 정말 그렇게 하려고 노력 중, 예컨대 국가개혁을 통해 새 계승법 해금 등). 따라서 많은 보정이 쌓이기 쉬운 구성을 의도적으로 제한 중입니다(Paradox Tinto 팀은 최근 EU4 개발 후반기 트라우마가 약간…있답니다 lol). 영구 보정은 대개 국가개혁·정책 등 구조적 자산에 주고, 일시적(일회성) 자산(DHE, 이벤트)에는 임시 보정만 부여하는 식입니다. 덕분에 Project Caesar에서는 ‘보정 쌓기’보다 각종 메커니즘적 상호작용이 핵심이 됩니다.

두 번째는, 미션입니다. Paradox GSG에서 흔한 플레이버 콘텐츠이지만 여기서는 아직 미공개입니다([Johan]이 추후 Tinto Talks에서 다룰 예정). 다만 미션은 상기한 국가별 기본 플레이버 콘텐츠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지금까지 소개된 국가 기본 플레이버에 집중할 예정이며 미션 언급은 일절 생략합니다(추후 별도 공개 예정이므로).

오늘의 소개는 여기까지입니다! 재미있게 읽으셨길 바라며, 다음 주 금요일에는 첫 국가, 피렌체(Florence) 의 실제 콘텐츠로 찾아올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