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고고학 유적의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최근 연구는 경제적 불평등이 사회 발전과 농업, 인구 증가의 필연적 결과가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선택의 산물임을 밝혀냈습니다. 이는 불평등의 기원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뒤집는 성과입니다.
Dario Radley
2025년 4월 15일
혁신적인 연구가 PNAS 저널에 발표되며 부의 불평등의 기원과 불가피성에 대한 전통적 통념을 뒤집고 있습니다. 전 세계 약 1,000개 고고학 유적지에서 5만 채 이상의 주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이 연구는 경제적 불평등이 사회 발전, 농업, 인구 증가의 필연적 결과가 아니라 정치적 선택과 통치 구조의 산물임을 시사합니다.
이 연구는 시카고의 필드 박물관(Field Museum)에서 중미, 중앙아메리카, 동아시아 인류학을 담당하는 매카서 큐레이터인 게리 파인만(Gary Feinman)이 이끌었습니다. 연구진은 1만 년에 걸친 인류 역사의 여섯 대륙, 다양한 사회의 가계 부를 추정하기 위해 가옥 규모를 가구의 부의 지표로 활용하여 지니계수(Gini coefficient, 불평등 척도)를 산출했습니다. 이 연구는 사회적 격차의 역사적 뿌리와 전개 과정을 밝히려는 GINI(Global Dynamics of Inequality) 프로젝트의 일환이기도 합니다.
"이런 방대한 데이터셋은 고고학에서 전례가 없습니다." 파인만은 말합니다. "이 데이터는 우리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불평등 패턴을 실증적이고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해줍니다." 연구진은 빙하기의 말기부터 유럽 식민지 시대 시작 전까지 북아메리카와 메소아메리카, 유럽, 아시아의 다양한 정착지를 분석했습니다. 가옥 크기의 다양성을 비교함으로써, 각 사회의 불평등 정도와 인구 규모, 정치적 복잡성과의 연관성을 평가할 수 있었습니다.
엘 팔미요(El Palmillo, 멕시코 오악사카 계곡)의 고전기(550~750년경) 주택 세 채가 발굴되었다. 아래: 가장 크고 화려한 주거 구조(Platform 11). 우측 상단: 덜 화려한 주택(Structure 35). 좌측 상단: 더 작은 주택(Terrace 925). 사진 제공: Linda Nicholas 와 Gary Feinman.
전통적 내러티브(사회가 커지거나 공식적 리더십이 등장하거나 농경이 시작될 때 불평등이 필연적으로 심화된다는 주장)와는 달리, 이 연구는 불평등 수준이 시간과 공간에 따라 매우 다양했음을 밝혔습니다. "수세기 동안 당연히 여겨진 많은 것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평등은 반드시 증가한다는 생각이죠. 이런 믿음들은 수백 년간 유지되어 왔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복잡합니다."라고 파인만은 설명합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인구가 증가하고 위계적 정부 구조가 도입된 경우 불평등이 종종 심화되는 경향이 있으나, 이러한 추세는 보편적이지 않았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인간 공동체가 부의 집중을 억제하는 거버넌스와 협동 조직 등 '평준화 장치'를 발전시켰습니다. 파인만은 "전통적인 생각은, 사회가 커지고 공식적 지도자가 생기거나 농경이 시작되면 불평등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규모 사회에서 높은 불평등이 반드시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파인만은 고대 사회에서 가옥의 크기가 부의 일관되고 신뢰할 만한 지표임을 강조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집이 클수록 집이 더 화려하고, 특별한 설비와 두꺼운 벽을 갖추게 됩니다."
주목할 만하게도, 이번 연구는 경제적 불평등이 기술 및 인구학적 변화의 자동적이고 피할 수 없는 결과라는 신화를 반박합니다. 오히려 연구는 부의 분배 방식, 정부 구성, 사회 조직 방식에 관한 인간의 선택이 사회적 결과를 형성하는 데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파인만은 미래지향적 통찰로 결론을 맺었습니다. "인간 집단이 커지고 정부 구조가 더 위계적으로 바뀐다고 해서 불평등이 필연적이지 않다면, 우리는 과거를 바라보는 시각뿐만 아니라 현재를 바라보는 시각에도 남다른 시사점이 있습니다. 비록 역사적으로 기술 발전과 인구 성장 등 여러 요소가 특정 시공간에서 불평등의 잠재력을 높여온 것은 확실하지만, 그 잠재력이 항상 실현되는 것은 아닙니다."
더 알아보기: Field Museum
Feinman, G. M., Cervantes Quequezana, G., Green, A., Lawrence, D., Munson, J., Ortman, S., ... Nicholas, L. M. (2025). Assessing grand narratives of economic inequality across tim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22(16). doi:10.1073/pnas.2400698121
최신 고고학 소식을 받아보세요! Google News, Flipboard, Facebook, Instagram, Threads, Twitter, Linkedin, 그리고 WhatsApp, Telegram 채널을 통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