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중요성과 글쓰기, 사고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합니다.
2022년 11월
내가 어릴 적 읽었던 공상과학 소설에서는, 종종 읽기가 좀 더 효율적인 지식 습득 방식으로 대체되어 있었다. 신비로운 "테이프"가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업로드되듯, 지식을 두뇌에 주입해주는 식이었다.
이런 일이 조만간 일어날 것 같지는 않다. 단지 대체 기술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서만이 아니라, 설령 그런 것이 존재한다 해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x에 대해 읽는 것은 단순히 x에 대해 배우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글을 쓰는 방법도 가르쳐 준다.
[1] 만약 우리가 읽기를 대체한다면, 과연 글을 잘 쓸 필요가 있는 사람이 있을까?
그렇다는 이유는 글쓰기가 단지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방식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좋은 작가는 단순히 생각한 것을 받아 적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글을 쓰는 과정에서 거의 항상 새로운 것을 발견한다. 그리고 내가 알기로 이런 종류의 발견을 대신할 방법은 없다.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것도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좋은 방법이지만, 그렇게 한 후에도 글을 쓸 때 여전히 새로운 것을 깨닫게 된다. 글쓰기를 통해서만 할 수 있는 사고 유형이 존재한다.
writing. 물론, 글쓰기 없이 할 수 있는 사고도 있다. 문제를 깊이 파고들 필요가 없다면, 글을 쓰지 않아도 해결할 수 있다. 두 기계 부품을 어떻게 맞출지 고민할 때는 글로 쓰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문제를 형식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머릿속에서 해결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복잡하고 정의가 애매한 문제를 풀어야 할 때는, 거의 항상 글을 써가며 생각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것은 곧, 글을 잘 쓰지 못하면 그런 문제를 푸는 데 거의 항상 불리하다는 뜻이다.
글을 잘 쓰지 못하면 잘 생각하기 어렵고, 글을 잘 쓰려면 잘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잘" 읽어야 한다는 말은 두 가지 의미 모두 적용된다. 즉, 읽기의 기술이 뛰어나야 하고, 좋은 글을 읽어야 한다는 뜻이다.
[2] 정보만 원하는 사람은 다른 방식으로도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스스로 아이디어를 만들어내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할 수 없다.
주석
[1] 오디오북은 좋은 글의 예시를 제공해주지만, 남이 읽어주는 것을 듣는 것은 직접 읽는 것만큼 글쓰기에 대해 많이 배우게 하지는 않는다.
[2] 여기서 말하는 "읽기를 잘한다"는 것은 단순히 읽기 능력이 좋다는 뜻이 아니다. 페이지에서 단어를 뽑아내는 데 능숙한 것이 아니라, 단어로부터 의미를 뽑아내는 데 능숙해야 한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