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P: (우연히) 범용 플러그인 시스템

ko생성일: 2025. 6. 29.갱신일: 2025. 7. 11.

USB-C와 자동차 시거잭의 범용성에서 영감을 받아, AI 모델 연결용으로 설계된 MCP 프로토콜이 어떻게 사실상 무엇이든 연결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범용 플러그인 시스템이 되었는지 살펴봅니다.

MCP: (우연히) 범용 플러그인 시스템

USB-C에 대해 아무도 언급하지 않는 점이 하나 있습니다. 우리가 모두 새 동글을 사야 했던 얘기 말고요(동글 서랍아, 2010-2023년 명복을 빕니다). 그 외의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USB-C가 결국 충전과 파일 전송만 하는, 기존 USB처럼 심각하고 목적 있는 포트일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USB-C가 가진 방식 덕분에… 다른 역할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미지 1

제 친구 렉스는 지난주에 토스터를 모니터에 연결했습니다. 왜 그랬는진 저도 모르고, 토스터도 모릅니다. 그런데 작동했습니다. 이젠 렉스의 토스트는 HDMI 출력이 됩니다.

예전 자동차에 있던 시가잭을 기억하시나요? 지금은 담배용이 아니라 범용 전원 아웃렛으로 쓰입니다. 1952년쯤 만들어진 것처럼 생겼을 뿐입니다. 휴대폰 충전이든 미니 피자 오븐 전원이든 차는 신경 쓰지 않습니다. 크기도 같고, 전기도 준비되어 있죠.

프로토콜은 여러분의 인생 선택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이 얘기를 꺼내는 이유는, 제가 캘린더 앱으로 배달 음식을 시켜 보려고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만지다가 알게 된 사실 때문입니다. 잘 따라와 주세요.

모두 MCP는 AI 도우미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용도라고 생각합니다. "Claude, 내 파일 좀 읽고 내 영혼 좀 이해해줘." 물론 그 역할도 합니다. 그런데, 문서에 이런 구절이 있어요. 이걸 보고 전 아침에 차를 뿜을 뻔 했죠:

“MCP는 AI 모델을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도구에 연결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합니다.”

좋아요. 그런데, 그런데요. AI라는 부분을 그냥... 빼면 어떨까요?

만약 그게 그냥 “AI 모델진짜 아무거나를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도구에 연결하는 표준화된 방법"이라면요?

이미지 2

마치 누군가가 NFT를 바라보며—원래 이미지를 가리키는 용도였는데—"만약 그 포인터가… 그냥 이미지라면?"이라고 생각했던 것과 비슷합니다.

이미지 3

이런 느낌이 잘 와닿지 않는 분들은, 다음 내용을 URL 창에 복사해서 붙여넣어보세요: data:application/json;base64,eyJuYW1lIjogIkJhZyAjNzQ4IiwgImRlc2NyaXB0aW9uIjogIkxvb3QgaXMgcmFuZG9taXplZCBhZHZlbnR1cmVyIGdlYXIgZ2VuZXJhdGVkIGFuZCBzdG9yZWQgb24gY2hhaW4uIFN0YXRzLCBpbWFnZXMsIGFuZCBvdGhlciBmdW5jdGlvbmFsaXR5IGFyZSBpbnRlbnRpb25hbGx5IG9taXR0ZWQgZm9yIG90aGVycyB0byBpbnRlcnByZXQuIEZlZWwgZnJlZSB0byB1c2UgTG9vdCBpbiBhbnkgd2F5IHlvdSB3YW50LiIsICJpbWFnZSI6ICJkYXRhOmltYWdlL3N2Zyt4bWw7YmFzZTY0LFBITjJaeUI0Yld4dWN6MGlhSFIwY0RvdkwzZDNkeTUzTXk1dmNtY3ZNakF3TUM5emRtY2lJSEJ5WlhObGNuWmxRWE53WldOMFVtRjBhVzg5SW5oTmFXNVpUV2x1SUcxbFpYUWlJSFpwWlhkQ2IzZzlJakFnTUNBek5UQWdNelV3SWo0OGMzUjViR1UrTG1KaGMyVWdleUJtYVd4c09pQjNhR2wwWlRzZ1ptOXVkQzFtWVcxcGJIazZJSE5sY21sbU95Qm1iMjUwTFhOcGVtVTZJREUwY0hnN0lIMDhMM04wZVd4bFBqeHlaV04wSUhkcFpIUm9QU0l4TURBbElpQm9aV2xuYUhROUlqRXdNQ1VpSUdacGJHdzlJbUpzWVdOcklpQXZQangwWlhoMElIZzlJakV3SWlCNVBTSXlNQ0lnWTJ4aGMzTTlJbUpoYzJVaVBsTm9iM0owSUZOM2IzSmtQQzkwWlhoMFBqeDBaWGgwSUhnOUlqRXdJaUI1UFNJME1DSWdZMnhoYzNNOUltSmhjMlVpUGtScGRtbHVaU0JTYjJKbElHOW1JSFJvWlNCR2IzZzhMM1JsZUhRK1BIUmxlSFFnZUQwaU1UQWlJSGs5SWpZd0lpQmpiR0Z6Y3owaVltRnpaU0krU0c5dlpEd3ZkR1Y0ZEQ0OGRHVjRkQ0I0UFNJeE1DSWdlVDBpT0RBaUlHTnNZWE56UFNKaVlYTmxJajVRYkdGMFpXUWdRbVZzZER3dmRHVjRkRDQ4ZEdWNGRDQjRQU0l4TUNJZ2VUMGlNVEF3SWlCamJHRnpjejBpWW1GelpTSStSR2wyYVc1bElGTnNhWEJ3WlhKelBDOTBaWGgwUGp4MFpYaDBJSGc5SWpFd0lpQjVQU0l4TWpBaUlHTnNZWE56UFNKaVlYTmxJajVEYUdGcGJpQkhiRzkyWlhNOEwzUmxlSFErUEhSbGVIUWdlRDBpTVRBaUlIazlJakUwTUNJZ1kyeGhjM005SW1KaGMyVWlQazVsWTJ0c1lXTmxQQzkwWlhoMFBqeDBaWGgwSUhnOUlqRXdJaUI1UFNJeE5qQWlJR05zWVhOelBTSmlZWE5sSWo1VWFYUmhibWwxYlNCU2FXNW5QQzkwWlhoMFBqd3ZjM1puUGc9PSJ9

참조를 저장하려던 프로토콜이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토콜로 변신한 셈이죠. 도서관 카드를 실제 책처럼 쓰는 것과 비슷하달까요.

여기서 더 흥미진진해집니다. 사람들이 AI를 위해 MCP 서버를 더 많이 만들수록, 모든 앱이 더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마치:

  1. 누가 자기 AI가 Spotify에 접근할 수 있게 MCP 서버를 하나 만듭니다.
  2. 이제 여러분의 운동 앱이 자동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여러분, 직접 Spotify 관련 코드를 한 줄도 안 썼습니다.
  4. Spotify MCP 서버 개발자는 여러분 앱이 있는지조차 모릅니다.
  5. 모두가 이득입니다?

마치 포틀럭 파티에 모두가 각자 특기 음식을 갖고오듯, 여기서는 음식 대신 기능이 모입니다. 그리고 먹는 대신… 음, 이 비유는 여기서 그만 두죠. 감 잡으셨죠?

이미지 4

아름다운 무질서는, Claude나 ChatGPT 혹은 그 어떤 목적이든 MCP로 만든 서버라면 어떤 MCP 기반 프로그램에도 무료 플러그인이 된다는 점입니다. 의도치 않게 범용 플러그인 생태계가 만들어지는 중입니다. (의도한 건 아니었던 것 같아요.) 그냥, 그렇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MCP가 AI용 USB-C라고들 말하지만, 사실 그게 무슨 뜻일까요?

USB-C가 특별한 건 단순히 포트이기 때문이 아닙니다. _가능성의 공간(possibility space)_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뭘 꽂아도 알아서 처리해준다는 거죠. 전력? 제공하죠. 데이터? 물론이죠. 영상? 요즘은 그렇더라고요. 토스터 제어 프로토콜? 렉스는 당연히 된다고 하네요.

MCP도 마찬가지입니다. "난 AI만 위한 것이야"가 아니라 "나는 잘 설계된 구멍이야. 여기에 뭐든 꽂아줘"라는 메시지입니다.

그래서 요즘 우리는 APM(Actions Per Minute)이라는 것을 만들고 있습니다. 겉보기엔 업무 관리 앱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꽂는 것에 따라 모습을 바꾸는 변형체입니다.

플러그인 시스템 전체가? 모두 MCP 서버일 뿐입니다.

맞춤법 검사? MCP 서버.

할 일 10개를 완료하면 자동으로 커피 주문? MCP 서버.

AI 요원들에게 할 일을 주면 워크래프트3 일꾼처럼 반응하게 만들고 싶다? 당연히 그 MCP 서버는 이미 작성되어 대기 중입니다.

이미지 5

모든 위대한 프로토콜은 개발자가 전혀 상상도 못 한 용도로 쓰이게 됩니다:

  • HTTP: 원래 논문 공유용. 지금은 문명이 돌아감.
  • 블루투스: 원래는 핸즈프리 통화용. 지금은 집 현관문을 염.
  • USB: 원래 키보드, 마우스용. 지금은 휴대용 선풍기 충전용.

MCP는 자기 자신을 AI 모델 컨텍스트용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각종 사물을 다른 사물과 대화시키는 정말 멋진 프로토콜입니다.

그리고 렉스의 토스트가 HDMI 출력을 얻는 세상에서라면, 어쩌면 바로 이것이 우리가 필요한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P.S. 컴퓨터에서 갓 구운 빵 냄새가 나게 해주는 MCP 서버를 만든다면 꼭 연락 주세요.

P.P.S. APM 사전접속이 막 열렸습니다. 기묘한 것, 유용한 것, 인생을 고민하게 만드는 무언가를 만들어 보세요. 저는 여러분을 믿습니다.

(어딘가에선 한 프로토콜이 진짜 본래 의도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거 뭔가 수상한데요.)